'고사'에 해당되는 글 (3건)
공휴일궤(功虧一簣) 마지막 마무리의 중요성 功 : 공 공虧 : 이지러질 휴一 : 한 일簣 : 삼태기 궤목적 달성을 바로 눈앞에 두고 중단함으로여태까지의 수고가 허사가 되어버린다.공휴일궤(功虧一簣)는 위와 같이 마지막에 얼마간의 마무리를 못하여진행해왔던 힘과 노력이 허사가 되었음을 말한다.최종적인 마무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서경 여오편에 나오는 말로아홉길 산을 쌓는데 흙 한 삼태기가 모자라 쌓은 공이 무너진다.(爲山九仞功虧一簣)에서 유래한 말이다.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무왕을 누르고 새 왕조를 열었을 때부터서쪽 이민족 여나라로부터 오라는 진기한 개를 선물 받는다.무왕은 그개를 소중하게 키운다.이를 본 무왕의 아우 소공 석이 이를 보고 개에 마음이 끌려정치를 등한히 할까 염려하여 한 말이다.임금된 사..
공중누각-근거와 내용에 충실 空-빌 공中-가운데 중樓-다락 누閣-누각 각 공중에 떠있는 누각.참되지 않거나 근거가 없고, 비현실적인 이야기, 문장 또는 사물을 지칭한다. 송대(宋代)의 과학자 심괄의 저서 몽계필담에서등주(산동반도에 있던 지명)는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데 늦은 봄에서 여름에 걸쳐 멀리 수평선 위로 누각들이 줄을 이은 도시가 보인다.지방 사람들은 이것을 '해시{海市)라고 한다. 후대 청(淸)나라 적호는 자기의 저서 통속편에 심괄의 위의 글을 수록하고지금 말과 행동이 허황된 사람을 가리켜 공중누각이라고 하는 것은 이것을 말하는 것이다. 심괄이 말하는 해시(海市)는 신기루(蜃氣樓)를 말하고 있다.신기루에 대해서는 훨씬 이전 사기(史記)에서도 신기는 누대(樓臺)의 모양을 하고 있는데 넓은 들..
맹자 사상 간략-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선하다. 맹자는 공자를 전수한 유가사상의 대표학자로 잘 알려져있다.자삭의 좋은 교육 환경을 찾고자 세번씩이나 집을 옮겼다는 맹자 어머니의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유명한 고사 중 하나다. 맹자는 공자 100년 후 전국시대에서 활동한 학자다.전국시대는 사회의 질서가 극히 문란한 시기였으며백성들은 도탄에 빠져 있던 시기였다."신하로서 자기 임금을 시해하는 자가 있고 자식으로서 자기 아비를 시해허는 자가 있다"고 회자되던 극히 암울한 시기였다.이러한 혼란을 바로잡고자 제자백가로 알려진 사상가들이 나온 시기였다. 맹자는 말년에 문도들과 시경과 서경을 정리하고공자의 뜻을 논술하고법도가 될만한 자기의 말을 서술하여 맹자 7편을 저술하였다. ※맹자의 사상은 "사람치고 선하지 ..